아이들의 하루는 어른의 하루보다 훨씬 길게 느껴진다. 어린 시절의 하루는 길게 느껴지는 이유는 단순히 시간이 다르게 흐르기 때문이 아니다. 뇌가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식, 새로운 경험의 빈도, 그리고 기억을 쌓는 과정이 모두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1. 새로운 경험이 하루를 길게 만든다
어린 시절에는 모든 것이 새롭다. 처음 보는 풍경, 처음 배우는 단어, 처음 만나는 친구까지 하루하루가 새로운 사건으로 가득하다. 뇌는 새로운 경험을 만날 때마다 많은 에너지를 사용해 정보를 기록한다. 그래서 하루 동안 경험하는 내용이 많아지고, 시간이 길게 느껴진다.
예를 들어 아이가 처음 자전거를 배울 때를 생각해 보자. 넘어지기도 하고 균형을 잡으려 애쓰기도 하며, 아주 짧은 시간 안에 수많은 감각과 기억을 쌓는다. 이 짧은 시간이 머릿속에서는 길게 늘어나고, 하루 전체가 아주 길게 느껴지는 것이다. 반대로 어른은 이미 자전거 타는 법을 알고 있기에 짧은 이동은 별다른 기억을 남기지 않는다. 그래서 같은 시간이 금세 지나간 것처럼 느껴진다.
2. 반복되는 일상이 시간을 짧게 만든다
아이 때는 새로운 일이 많지만, 어른이 되면 하루가 비슷한 일상으로 반복된다. 아침에 일어나 출근하고, 비슷한 일을 하고, 집에 돌아와 같은 행동을 이어가는 과정이 계속된다. 뇌는 반복되는 일을 특별히 새롭게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기억에 남는 것이 줄어든다.
기억이 줄어들면 하루는 짧게 느껴진다. 같은 시간을 보냈더라도 특별한 사건이 없으면 머릿속에는 빈 공간처럼 느껴지고, 결국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 것처럼 다가온다. 그래서 나이가 들수록 하루, 한 달, 그리고 1년이 점점 짧게 느껴지는 것이다.
아이의 하루가 긴 이유는 새로운 자극이 많기 때문이고, 어른의 하루가 짧게 느껴지는 이유는 반복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이는 뇌가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3. 기억의 양이 시간 체감을 바꾼다
시간이 길게 느껴지느냐 짧게 느껴지느냐는 결국 기억의 양과 관련이 깊다. 어린 시절에는 새로운 경험이 많아 기억이 많이 쌓인다. 그래서 짧은 하루도 가득 차 있고, 시간이 천천히 흐른 것처럼 느껴진다. 반대로 어른이 된 후에는 기억되는 사건이 적어 하루가 단순해지고, 시간이 훨씬 빠르게 지나간 것처럼 다가온다.
이 원리를 알면 하루를 더 길게 느끼는 방법도 찾을 수 있다. 새로운 경험을 만들고, 반복되는 일상에서 벗어나 작은 변화라도 주면 된다. 새로운 길을 걸어보거나, 새로운 취미를 배우는 것만으로도 하루는 더 길게 채워지고 기억이 많아진다. 아이처럼 새로운 경험을 자주 쌓으면 시간의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어린 시절의 하루는 길게 느껴지는 이유는 뇌가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식, 새로운 경험의 빈도, 그리고 기억의 양 때문이다. 아이는 하루하루가 새롭고 기억할 일이 많아 시간이 천천히 흐른 것처럼 느끼지만, 어른은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기억할 것이 줄어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 것처럼 느낀다.
시간은 모두에게 똑같이 흐르지만, 그 속도를 어떻게 느끼느냐는 각자의 경험과 기억에 달려 있다. 어린 시절처럼 새로운 것에 마음을 열고, 작은 변화라도 생활 속에 담는다면 누구든 하루를 더 길게, 더 풍성하게 느낄 수 있다.